목록양키시장 (2)
[사진공책] 가려진 세계의 징후들

눈보라기 휘날리는 바람 찬 흥남부두에서 헤어졌던 금순이를 목 놓아 찾던 이는 부산 국제시장 장사치다. 굳세어라 금순아! 전쟁 통에 헤어진 이산가족의 사연이 담긴 노래의 고향은 그러나 가사와는 달리 부산이 아닌 대구다. 1952년 여름 가수 현인, 오리엔트 레코드사 사장 이병주, 밀양 출신 작곡가 박시춘, 그리고 여수 출신 작사가 강사랑 네 사람은 대구 교동의 냉면집 강산면옥에서 식사를 마친 후 거리에서 노래를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굳세어라 금순이가 태어난 곳은 부산 국제시장이 아닌 대구 교동 양키시장인 것이다. 교동 양키시장은 인천 송현동 양키시장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몸 하나 누일 공간 밖에 되지 않는 한 평도 못되는 작은 점방들이 벌집처럼 박혀 촘촘히 박혀있는 다닥다닥한 느낌이 비슷하다. 3층짜리 ..

츄잉껌, 씨레이션, 시바스, 코냑, 말보로, 바셀린로션, 아스피린, 간스메(통조림), 초콜릿, 비스킷, 레브론 샴푸, 콜게이트 치약, 곰보 모양의 케이스에 담긴 곰보스킨…. 구리무(크림)가 왔다며 북을 ‘둥둥’ 치고 다니던 화장품 장사꾼은 리필용 동동구리무 대신 미제 크림과 스킨을 팔았다. 향이 좋은 스킨 올드스파이스를 향수로 뿌리고 다닐 정도로 양키들의 물건은 냄새부터 달랐다. 미국은 멀리 있지 않았다. 따뜻하게 입고, 달콤하게 먹고, 촉촉하게 바르고, 유혹하는 냄새가 나는 물건들이 바로 미국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삶의 밑천이 없던 이북 피란민들이 미군부대 주변에서 장사를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됐다. 미군과 동거하던 양색시와 부대를 출입할 수 있던 한국 군무원들이 풀어놓은 물건들이 거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