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재개발 (2)
[사진공책] 가려진 세계의 징후들
소금장수들이 많이 살아서 염리동이라 불렀다. 옛 서울 마포동 소금머리골에 소금배가 드나들던 소금전이 있었고, 대흥동 동막역에는 소금창고가 있었다. 물론, 현재의 염리동에는 소금장수가 없다. 노후한 밀집 주택가는 재개발지구로 지정됐고 분위기는 을씨년스러워졌다. 컴컴한 골목길은 무서웠다. 우범지역이라는 오명도 따라붙었다. 2012년까지는 그러했다. 서울시는 범죄예방 디자인 사업을 염리동에 착수했다. 범죄예방 디자인? 범죄에 취약한 지역의 생활환경을 도시 디자인 작업을 통해 안전한 생활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뜬 구름 잡는 설명이다. 염리동을 걸어보면 무슨 이야기인지 저절로 이해된다. 오즈의 마법사에 나오는 노란 벽돌길처럼 염리동 골목길 바닥에는 노란 점선이 그려져 있다. 노란 점선 골목길 어귀마다 고유 번호가..
슬레이트 지붕이라도 좋다. 지금 이대로 살 수 있다면. 떡 하나, 작은 음료수 한 병도 나누던 동네 인심이 재개발을 버텨냈다. 특별한 이름도 없이 그냥 달동네라 불리던 대전 대동 산1번지에 봄이 왔다. 대동 달동네는 한국전쟁 피란민들이 모여 살던 판자촌이었다. 배나무가 많아 배골산이라 불리던 계족산 남쪽 줄기에 가난한 사람들이 보금자리를 틀었다. 산비탈을 깎아 작은 평지를 만들고 천막과 판자를 둘러 비바람을 막았다. 살림살이가 조금 나아지자 비가 새던 판자 지붕을 아스팔트 기름으로 바르거나 슬레이트로 바꿨다. 아스팔트 찌꺼기로 코팅한 루핑 지붕은 없어졌지만 대동 달동네는 아직도 슬레이트 지붕이 비와 눈을 막아주고 있다. “아파트가 들어서면 뭐해. 관리비도 못 낼 텐데. 죽을 때까지 이대로 살았으면 좋겠어..